사고방식의 변화 방향과 방법
앞에서 언어적 사고의 한계, 사고의 벽, 사고방식의 변화, 수련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그러면 사고방식을 어느방향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바꾸어 나가는가가 문제이다.
사고방식이란 문제해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나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문제
세상으로 부터 나의 마음 속으로 들어온 문제와
세상과 나와의 부딪힘에서 만들어진 문제
그래서 내 마음 속에서 존재하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 곧 사고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방식, 문제해결 패턴은
내 어린시절부터 줄곧 이어져 오고 있다.
어린 시절에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는 지금도 계속 안고 가고있는 문제가 많다.
어려서 쉽게 해결한 문제는 평생을가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사람들이 가진 문제는 무지 많은 것 같지만
위에서 말한 사회로부터의 문제, 사회로의 문제, 등 몇가지로 존재할 뿐이다.
다만 사람들의 이기심에 의하여 각각의 상황에 따른 문제들이 분류되어질 뿐이다.
다시말하면 문제에 존재하는 인칭은
나, 너, 우리, 사회, 전체 등이 존재한다.
여기에 과거의 나, 현재의 나. 미래의 나가 개입한다.
여기서 가장 좋은 문제해결의 방향은
여기에 존재하는 인칭들이 모두 좋은 방향인 것이다.
이름하여 WinWinWin이다.
이 경우 아무도 반대할 이가 없다.
다른 사람들이 잘되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러나 다른사람들이 잘되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의 입장을 고려할 필요까지는 없다.
오히려 그런 사람은 다른 댓가를 지불하고 지불받아야할 것이다.
우리 어린시절부터 부모님과 사회로부터 나의 이익을 위하여 행위를 하는 교육을 받은 자는
수련 시에 많은 괴로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특히 남이사 잘되던 못되던 나만 잘되면 된다는 식의 삶을 교육받은 자라면
마음이 맑아질수록 더욱 괴로워질 것이다.
그러나 어린시절부터 타인에게 많이 양보하고 산 사람이라면
수련을 할수록 행복해질 것이다.
하지만 어린시절부터 양보가 아니라 박탈을 당하다시피 양보한 이라면
자신을 위해 산 사람보다 더욱 고통스러울 수 있다.
상실감, 무기력, 보상심리 등으로 수련이 방해받을 것이다.
그래서 수련을 통하여 자신이 무엇인가를 크게 얻어서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고 남보다 더욱 뛰어난 점을 강조하는 보상심리가 발동하여
수련이나 능력에 집착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수련이란 것은
쉽게 편하게 하는 사람이 앞서게 되어있다.
그 마음에는 집착이 애초에 없기 때문이다.
만일 어린시절부터 윈윈윈이라는 방향을 깨달은 이가 있다면
이는 아주 훌륭한 사회적 리더가 되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우리에게는 그러한 교육을 받을 기회가 별로 없었다.
사회는 각박하다고 교육받았고
남을 이기지못하면 안된다고 교육받았다.
물론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라고 교육 받았지만
그것이 지금 나에게 주는 것이 무엇인가 생각하면 참으로 괴로운 교육들인 것이다.
나의 아이들에게는 절대로 교육하고 싶지 않은 말들이다.
하여 여기 글을 보는 사람들은
어린시절부터 자신의 내면에 담아둔 사고방식을 꺼내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 사고방식의 단면들은
어린시절 생각나는 사건들과상황들의 이면에 들어있다.
어린시절부터 성장과정에서 이루지 못한 일들
하고싶었던 일들
아픔들 속에 녹아 있다.
그 아픔들과 한계들이 나의 사고방식을 도한 만들어 놓은 것이다.
그러한 과정의 집합체가 지금의 나이다.
그 대 윈윈윈으로 해결하지 못했기에 남아버린 것들이
지금 내가 해결해야 하는 에너지, 즉 업이 되어버린 것이다.
해서 나의 사고방식을 윈윈윈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그렇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어린 시절 풀지 못한 것들을
윈윈윈의 방법으로 해결지어봄으로서
마음 속에서 연습하고 실제한 것을
현실 속으로 실제하게 하는 것이 수련의 방법이다.
내 마음 속에서 먼저 구현해보면
이미 세상이 바뀌어가는 것을 알게 되고
그러면 스스로가 세상에서 구현해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앞에서 이야기한 내용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모두 사랑하는 사람들 행복한 에너지들입니다.
사랑하는 사람 행복한 에너지 imita 드림.